본문 바로가기
생활&건강정보/생활

모르면 민폐! 결혼식 하객 예절

by 셋잎 2022. 8. 29.
반응형

모르면 민폐.. 결혼식 하객 예절

코로나 거리두기가 풀리기 시작하며 점점 늘어나는 결혼식
이게맞나? 저게맞나? 애매하고 헷갈리는 결혼식 예절들
오늘은 모르면 민폐가 되는 결혼식 예절에 대해 포스팅하려 합니다.

 

결혼식 하객 예절

 

결혼이란?

결혼은 하나의 사회적 제도이며, 결혼식은 두 사람의 결혼관계를 사회적으로 공인하는 예식입니다.
세상에서 가장 축복받는 일들 중 하나랍니다!

결혼식 하객 복장

결혼식에는 20~30분정도 일찍 가서 신랑, 신부와 간단히 축하인사를 나누는게 좋습니다.
특히 신부측 하객일 경우 식을 올리기 전에 신부대기실에서 대기했다가 사진을 찍으니 좀 더 빨리가는 것을 추천드립다.

 

결혼식 남자복장

  • 남자복장

    결혼식 남자복장은 정장에 넥타이를 기본으로 합니다.
    정장의 색은 신랑을 배려해 너무 까만 블랙색상보다는 네이비, 차콜, 브라운 등의 컬러가 좋습니다.
    계절에 따라 원단소재를 달리하여 입으면 되고 겨울에는 코트나 재킷을 걸쳐입기도 합니다.
    하지만 최근에는 결혼식 하객도 편하게 입고가는 시대가 되어 그림과 같이 캐주얼 정장이나 가볍게 가디건, 셔츠 등 깔끔한 복장으로 참석해도 됩니다.

결혼식 여자복장

 

  • 여자복장

    결혼식 여자복장은 신부보다 이쁘면 안됩니다. :)
    신부의 흰색 웨딩드레스를 빛내주기 위해 흰색계열의 옷은 되도록 피하며 패턴이 너무 강하지않은 원피스나 캐주얼룩, 깔끔한 댄디룩정도로 입으면 됩니다.
    화려하고 진한 메이크업은 하지않으며 노출이 심한 옷이나 악세서리 등은 착용하지 않습니다.


축의금

예로부터 우리 조상님들은 홀수가 길하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래서 결혼식 축의금 또한 홀수로 내며 보통 3~10만원정도로 합니다. 신랑, 신부와 친한정도에 따라 천차만별로 금액이 다르겠지만 최근에는 물가상승과 5만원권으로 인해 비교적 5만원으로 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축의금 봉투를 낼 때 앞에는 축 결혼, 하의, 축화혼 등의 문구를 적고 봉투 뒤 왼쪽 아래에 본인의 이름을 적습니다.
본인과의 관계라 친할경우 단순히 이름만 적어도 되지만 사회적으로 만난관계일 때는 이름 오른쪽에 회사명이나 동아리명같은 소속관계를 알 수 있는 명칭을 적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기념촬영

기념촬영은 반드시 찍어야하는 것은 아닙니다.
본인의 결혼식에 온 지인이 사진을 함께 촬영했다면 당연히 찍는 것이 맞고 아닐경우에는 식이 끝난 뒤 바로 식사를 하러가도 상관없습니다.
하지만 결혼식에 참석했다는걸 증명할 수 있는 가장 확실한 방법이자 추억으로 남길 수 있는 부분으로도 남기에 개인적으로 기념촬영은 하는것을 추천드립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